본문 바로가기

[실내건축기사] 주택 평면계획 시 고려되는 인접의 원칙이란?

델타위스키 2025. 5. 6.
반응형

인접의 원칙이란?

공간들 간의 성격과 사용 목적에 따라,
서로 가깝게 배치하거나 일정 거리 이상 분리해야 하는 설계 원칙.
주로 주방, 욕실, 침실, 거실 등을 기준으로 배치 관계를 설정함.


자주 나오는 인접 관계 유형

가깝게 배치해야 하는 공간

  • 거실 ↔ 식당 ↔ 주방
    → 가족 활동이 연결되므로 연속 배치가 효율적
    → 음식 준비 → 식사 → 휴식의 자연스러운 흐름
  • 침실 ↔ 욕실
    → 야간 동선 편의성 확보
  • 현관 ↔ 신발장, 창고
    → 출입 시 편의성과 물품 정리 동선 고려
  • 다용도실 ↔ 주방
    → 가사 업무 연계, 세탁·조리 동선 통합

떨어뜨려야 하는 공간

  • 침실 ↔ 거실 / 현관
    → 사생활 보호, 소음 차단 필요
  • 주방 ↔ 욕실
    → 위생상 분리, 냄새·습기 고려
  • 보일러실 ↔ 생활공간
    → 소음과 진동 최소화
  • 화장실 ↔ 식당 / 주방
    → 위생상 분리 원칙

인접의 원칙 시험 대비 핵심

  • “다용도실은 주방과 인접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 “침실은 거실과 바로 인접하도록 배치한다.” → ❌ (사생활 분리 필요)
  • “현관은 식당과 가까울수록 좋다.” → ❌ (적절한 완충 공간 필요)
  • “욕실은 침실과 인접하여 배치할 수 있다.” → ✅

정리 요약 (단답형)

  • 인접의 원칙이란?
    → 공간 기능에 따라 서로 가까이 혹은 멀리 배치하는 설계 원칙
  • 핵심 목적:
    기능 연계, 동선 효율, 프라이버시, 위생, 소음 분리

 

예제

다음은 실전 시험에서 출제 가능한 인접의 원칙 관련 문제들이다.

문제 1
다음 중 인접 배치가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조합은?
A. 주방 – 다용도실
B. 욕실 – 침실
C. 현관 – 신발장
D. 주방 – 욕실

정답: D
해설: 주방과 욕실은 냄새와 습기의 영향을 고려해 분리하는 것이 위생상 바람직하다.

문제 2
거실과 주방, 식당을 인접 배치하는 가장 큰 이유는?
A. 사생활 보호를 위해
B. 위생과 방습을 위해
C. 가사 동선의 효율성을 위해
D. 조망 확보를 위해

정답: C
해설: 식사, 조리, 휴식의 흐름을 연결하고 가사 동선을 줄이기 위한 구성이다.

문제 3
다음 중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배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
A. 거실 옆에 침실 배치
B. 침실과 현관 사이에 화장실 배치
C. 침실과 거실 사이에 완충 공간 배치
D. 욕실과 식당을 인접 배치

정답: C
해설: 침실과 거실 사이에 중간 완충 공간이 있으면 시선과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문제 4
다음 중 인접 배치가 바람직한 경우는?
A. 침실 – 거실
B. 주방 – 화장실
C. 침실 – 욕실
D. 식당 – 현관

정답: C
해설: 야간 시간대에 주로 사용하는 침실과 욕실은 동선 단축을 위해 인접이 권장된다.

문제 5
다음 설명 중 인접의 원칙에 대한 틀린 설명은?
A. 다용도실은 주방과 인접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보일러실은 거실 가까이에 배치하여 접근성을 높인다.
C. 침실은 사생활 보호를 위해 조용한 공간과 인접해야 한다.
D. 욕실은 위생을 고려하여 식당과 분리 배치해야 한다.

정답: B
해설: 보일러실은 소음과 진동이 있으므로 거실과 같은 생활 공간과 분리 배치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