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기사] HSB 색채 시스템 (Hue, Saturation, Brightness)
반응형
실내건축기사에서 말하는 디지털 색채 시스템으로서의 HSB는, 디지털 디자인 환경에서 색을 수치화하고 체계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색 공간(color space) 중 하나로, Hue(색상), Saturation(채도), Brightness(명도) 세 요소로 색을 정의하는 색채 모델이다.
HSB 색채 시스템 (Hue, Saturation, Brightness)
1. 개요
HSB는 디지털 색채 시스템 중 가장 인간의 시각적 감각과 유사하게 색을 정의하는 방식으로, 실내건축, 그래픽 디자인, 디지털 설계 프로그램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RGB와 달리, 인간이 **‘색’ 자체를 인지하는 방식(무슨 색인가, 얼마나 선명한가, 얼마나 밝은가)**를 구조적으로 반영한 모델이다.
2. 각 구성 요소 설명
요소한글 의미설명값의 범위
Hue | 색상 | 빨강, 초록, 파랑 등의 색의 종류. 색상환 상의 위치로 정의됨. | 0°~360° (각도 단위) |
Saturation | 채도 | 색의 선명함 또는 탁함. 회색 비율에 따라 결정됨. | 0% (무채색) ~ 100% (순색) |
Brightness | 명도 |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 밝은 색일수록 명도 높음. | 0% (검정) ~ 100% (가장 밝음) |
3. 시각적 이해
- Hue = 색상환 상의 위치
- 예: 0° = 빨강, 120° = 초록, 240° = 파랑
- Saturation = 회색 섞인 정도
- 예: 같은 빨강이라도 채도가 낮으면 분홍이나 회색처럼 보임
- Brightness = 밝기 조절
- 예: 채도와 색상 고정해도 명도 낮추면 검정에 가까워짐
4. 실내건축에서의 활용
- 색채 설계 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색을 조절 가능
- Adobe Photoshop, AutoCAD, SketchUp, 3ds Max 등에서 사용
- 조명 환경에 따른 명도 보정이나 공간 분위기 제어 시 유리
- RGB 대비 사람의 감각 중심 설계에 적합하여 실제 공간 연출에 직결됨
5. RGB와의 비교
항목HSBRGB
구성 | Hue, Saturation, Brightness | Red, Green, Blue |
직관성 | 높음 (인간 인지 기반) | 낮음 (기계적 합성) |
사용 환경 | 디자인, 공간 연출 | 하드웨어, 디스플레이 |
색상 조절 방식 | 색상, 선명도, 밝기 분리 | 색 조합으로 색 결정 |
6. 실내건축기사 출제 포인트
- HSB 구성 요소 정의와 적용 예시
- RGB, CMYK, Munsell 등과의 비교
- 색상환과 Hue 각도 매칭(예: 노랑 = 60°, 청록 = 180° 등)
- 디지털 설계 프로그램에서의 색상 지정 방식 이해
7. 예시 응용
예: HSB (0°, 100%, 100%)
→ 완전한 빨강 (Hue: 빨강, 채도: 최고, 명도: 최고)
예: HSB (120°, 50%, 50%)
→ 중간 밝기의 흐린 초록색
반응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내건축기사] 가구 유형별 설명 (0) | 2025.05.07 |
---|---|
[실내건축기사] 생산공장에서 색채조절이 중요시되는 이유 (0) | 2025.05.07 |
[실내건축기사] 팬톤 색채계란? (0) | 2025.05.07 |
[실내건축기사] 색채조절의 목적은? (0) | 2025.05.07 |
[실내건축기사] 숍 프런트의 유형 분류 및 특징 (0) | 2025.05.07 |
[실내건축기사] 건축의 평면유형 단일지역 / 2중지역 / 3중지역 배치 + 구조 형식 총정리 (0) | 2025.05.07 |
[실내건축기사] 스테인드 글라스란? (0) | 2025.05.07 |
[실내건축기사] 그리스 건축의 세 가지 오더 (0) | 2025.05.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