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기사] 건축의 평면유형 단일지역 / 2중지역 / 3중지역 배치 + 구조 형식 총정리
반응형
단일지역 / 2중지역 / 3중지역 배치 + 구조 형식 총정리
1. 기본 개념: ‘지역 배치’란 무엇인가?
‘지역 배치’는 건물의 평면 구성에서 공간을 몇 개의 구역(지역)으로 나누어 배열했는가에 따라 구분하는 개념이다.
이는 상위 개념으로, 아래 구조 형식들의 틀이 된다.
지역 배치 구분정의주요 용도
단일지역 | 복도 없이 하나의 흐름으로 공간이 연결됨 | 단독주택, 원룸, 한옥 |
2중지역 | 복도를 중심으로 공간이 양쪽으로 나뉘는 구조 | 다세대주택, 학교, 병실 등 |
3중지역 | 공간이 3개 구역으로 구분됨. (중앙 + 양측) | 병원, 공공청사, 대형시설 등 |
2. 세부 구조 형식: '형태'는 어떻게 구현되는가?
지역 배치 개념은 실제로는 복도의 개수나 중앙 공간의 성격에 따라 여러 가지 구조 형식으로 구체화된다.
이는 개념의 하위 실현 방식이다.
구조 형식명대응 지역 배치복도/중앙 구조설명
단일 복도식 | 2중지역 | 복도 1개 | 복도를 중심으로 양쪽 실 배치 |
편복도식 | 2중지역 | 복도 1개, 실은 한쪽에만 | 외벽 쪽 실 집중, 환기 유리 |
2중 복도식 | 3중지역 | 복도 2개 | 실 - 복도 - 중앙실 - 복도 - 실 |
중앙홀식 | 3중지역 | 중앙에 큰 홀 | 상징성·개방성 중심 공간 |
단일지역 구조 | 단일지역 | 복도 없음 | 공간들이 직접 연결됨 |
3. 용어 혼란 주의: “중복도식”이라는 말은 정확한 학술 용어가 아니다
❗ 시험에서는 ‘중복도식’이라는 용어가 종종 등장하나:
- 공식 용어 사전에는 ‘중복도식’이라는 용어는 없음.
- 보통 단일 복도식(중앙 복도식) 구조를 의미하는 관습적 표현으로 사용됨.
- 혼란 주의: '복도가 2개 있다'는 의미의 2중 복도식과 헷갈리면 안 됨
4. 시험 대응 전략 요약
시험 표현정확한 해석 및 대응 방식정답 여부
“2중지역 배치는 중복도식 형태다” | 중복도식 = 중앙복도식 = 복도 중심 양측 실 구조로 이해 | ✅ 정답 |
“중복도식”이라는 단어 자체 | 정확한 용어는 아님. ‘복도 중심형 구조’로 의도된 표현 가능성 | ❗ 해석 필요 |
“2중 복도식” | 복도 2개 + 공간 3개 → 3중지역 배치임 | ❌ 오답 |
5. 최종 정리 문장
단일지역, 2중지역, 3중지역 배치는 공간 배치 개념의 구분이며,
각각은 단일 복도식, 편복도식, 2중 복도식, 중앙홀식 등 다양한 구조 형식으로 구현된다.
시험에서 “중복도식”이라는 표현은 ‘중앙복도식’을 뜻하는 관습적 표현일 가능성이 높으며, 2중지역 배치의 대표적 형식으로 이해해야 한다.
단, 엄밀한 건축용어로는 지양되어야 하며, 실제 설계에서는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
반응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내건축기사] 팬톤 색채계란? (0) | 2025.05.07 |
---|---|
[실내건축기사] 색채조절의 목적은? (0) | 2025.05.07 |
[실내건축기사] HSB 색채 시스템 (Hue, Saturation, Brightness) (0) | 2025.05.07 |
[실내건축기사] 숍 프런트의 유형 분류 및 특징 (0) | 2025.05.07 |
[실내건축기사] 스테인드 글라스란? (0) | 2025.05.07 |
[실내건축기사] 그리스 건축의 세 가지 오더 (0) | 2025.05.07 |
[실내건축기사] 르 꼬르뷔지에의 모듈로(Modulor) (0) | 2025.05.07 |
[실내건축기사] 부엌 작업대의 적정 높이, 깊이 (0) | 2025.05.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