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기사] 팬톤 색채계란?
반응형
실내건축기사에서 말하는 팬톤 색채계(Pantone 색채계, Pantone Matching System, PMS)는 색을 수치화하고 표준화하여, 누구나 동일한 색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게 해주는 국제 색상 규격 체계이다.
특히 실내건축에서는 벽체 마감, 가구 색상, 섬유, 페인트, 조명 효과 등을 설계할 때 색상의 정확한 지정 및 전달을 위해 팬톤 시스템을 활용한다.
팬톤 색채계(Pantone Matching System, PMS)
1. 정의
- **Pantone Inc.**에서 개발한 표준 색상 체계
- 색을 고유 번호와 이름으로 정확히 지정해 누구나 동일한 색을 재현 가능하게 함
- 디지털 디자인부터 실내 마감재, 가구, 페인트, 섬유, 인쇄물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
2. 구성 체계
구성 요소설명
색상 번호 | 예: PANTONE 186 C, 3005 U 등 |
표기 방식 | 숫자 + 알파벳 (C, U, M 등) |
- C: Coated (광택지)
- U: Uncoated (비광택지)
- M: Matte (무광택지) |
- | 색상칩 가이드북 | 팬톤 컬러 가이드는 실제 색상칩이 수록된 책자이며, 설계 시 직접 대조하여 사용함 |
3. 실내건축에서의 활용
- 색상 명확화: 설계도면에 팬톤 번호로 색상을 지정하여, 디자이너 ↔ 시공자 간 오차 없는 색 재현
- 브랜드 통일성 유지: 브랜드의 고유 색상(Pantone 기준)을 공간에 정확히 적용 가능
- 색상 커뮤니케이션 도구: 디지털 모니터·프린트·도장 등 매체 간 색상 차이 최소화
- 페인트, 가구, 섬유 발주 시 기준 제공
4. 실내건축기사 출제 포인트
항목출제 내용예시 문항
정의 | 팬톤 색채계는 색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 "팬톤 색채계의 목적은?" |
표기 방법 | 숫자 + 용지 유형 기호 | "PANTONE 186 C의 C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활용 분야 | 실내 마감, 인쇄, 섬유 등 | "다음 중 팬톤 색채계가 사용되지 않는 분야는?" |
특징 | 실물 칩 제공, 국제 표준, 색상 통일 | "팬톤 색채계의 주요 장점은 무엇인가?" |
타 색채계와 비교 | Munsell, NCS, RGB 등과 차이 | "팬톤은 주로 산업용이고, 먼셀은 심리적 분류다" 등 비교문제 |
5. 다른 색채계와 비교 (요약)
색채계기준 방식주 용도
Pantone | 색상번호 기반, 실물 색상칩 | 인쇄, 실내디자인, 산업디자인 등 |
Munsell | 인간의 시각적 인지 기준 (색상·명도·채도) | 미술, 교육, 색채 심리 분석 |
NCS | 인간의 감각 기반 색채 공간 (노랑·빨강 등 원색 중심) | 북유럽 디자인, 건축, 공공색채 |
RGB | 디지털 빛 3원색 조합 | 모니터, 디지털 콘텐츠 |
CMYK | 인쇄 4원색 혼합 | 오프셋 인쇄, 그래픽 출력 |
요약 암기 포인트 (기사시험용)
- 팬톤(Pantone): 색상 표준화, 산업용 국제 색채계
- PMS: Pantone Matching System
- 색상 표현: 숫자 + C(U/M) 방식
- C, U, M의 차이: 용지 및 표현 재질에 따른 광택 특성
- 활용: 정확한 색상 지정, 색상 오차 최소화, 실물 견본 기준
반응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내건축기사] 인간기준(human criteria)의 유형 세 가지 (0) | 2025.05.07 |
---|---|
[실내건축기사] 시스템 가구란? (2) | 2025.05.07 |
[실내건축기사] 가구 유형별 설명 (0) | 2025.05.07 |
[실내건축기사] 생산공장에서 색채조절이 중요시되는 이유 (0) | 2025.05.07 |
[실내건축기사] 색채조절의 목적은? (0) | 2025.05.07 |
[실내건축기사] HSB 색채 시스템 (Hue, Saturation, Brightness) (0) | 2025.05.07 |
[실내건축기사] 숍 프런트의 유형 분류 및 특징 (0) | 2025.05.07 |
[실내건축기사] 건축의 평면유형 단일지역 / 2중지역 / 3중지역 배치 + 구조 형식 총정리 (0) | 2025.05.07 |
댓글